포자랩스 2024 연말 결산 & 2025 로드맵

포자랩스 2024 연말 결산 & 2025 로드맵

2024년은 AI 음악 업계가 전례 없는 변화를 겪은 해였습니다. 거대 생성 모델이 대중화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AI 작곡 플랫폼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는 등 업계 전반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포자랩스 역시 음원생성 기술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의미있는 프로젝트를 통해 한층 높은 도약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연구 성과와 B2C 제품의 글로벌 출시부터 주요 협업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저희는 AI 음악 생성 기술을 통해 시장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해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포자랩스가 걸어온 발자취를 돌아보고, 더욱 큰 도전을 향해 나아갈 2025년의 비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단계 더 발전한 음원생성 기술과 윤리적 AI

포자랩스의 인공지능 음원생성 기술은 내부적으로 구축한 학습 데이터만 활용하기 때문에, 상업적 사용이 자유롭고 저작권 문제가 없어 업계에서 가장 안전한 음악 AI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MIDI를 음원 생성의 기본 단위로 삼아, 생성된 음악을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어 활용 범위가 무궁무진합니다. 특히 2024년에는 기존 기술보다 한 단계 진보한 생성기술을 성공적으로 구축함으로써, 현존하는 가장 윤리적이고 안전한 음악 AI 기술임을 대외적으로 공표했습니다.


AAAI 2024 논문 게재

    • 올해 포자랩스 연구원들이 작성한 논문이 세계 최고 권위의 인공지능 학회인 ‘세계인공지능학회 (AAAI 2024)’ 에 채택되었습니다. 해당 논문 "MID-FiLD: MIDI Dataset for Fine-Level Dynamics"에는 악기의 주법에 따라 변하는 음색과 음량을 미세한 수준으로 표현한 MIDI 데이터셋에 관한 연구가 담겨 있습니다. 기존의 데이터셋은 대체로 음표 수준의 연주 강약 정보를 담는 반면, 이번 연구는 전문 작곡가가 직접 표기한 메타정보(장르, 분위기 등) 뿐 아니라, 셈여림 정보를 학습하여 Symbolic Music Generation 분야에서 '사람이 연주한 듯한' 섬세한 음악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담고 있습니다.

      MID-FiLD: MIDI Dataset for Fine-Level Dynamics 논문


음원생성 기술 연구 성과

    • 사용자가 입력한 '그루브(리듬) 패턴' 및 '음형의 특성(음역대, 음의 밀도 등)'을 반영해 생성하는 미디 음원 생성 기술 확보
    • 주어진 미디 음원의 보다 정교한 연주를 위한 '셈여림' 및 '피아노 페달 on/off 위치' 등의 연주 정보 생성 기술 확보
    • 입력받은 음원에 드럼 및 비트 반주를 생성하여 입혀주는 기술 확보
    • 보컬 멜로디와 해당 멜로디를 부르기 위한 '싱잉 테크닉 (노트 단위로 대응되는 벤딩, 바이브레이션, 진/가성, 레가토/논레가토, 어택/릴리즈 등의 가창 테크닉)'을 동시에 생성해주는 보컬 미디 음원 생성 기술 확보
    • 생성된 미디 음원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여 비선호되는 음원이 생성될 확률은 줄이고, 선호되는 음원이 생성될 확률은 높이는 '사용자 선호도 반영 학습' 기술 확보


국내외 신규 특허 등록

    • 인공지능 기반의 유사 검색 시스템 및 방법 (24.01.11)
    • (US)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imilar Sound Source Search System and Method (24.11.12)
    • 강화 학습을 이용한 오디오 생성 (24.02.27)


ARIA - text2music / text2sample 출시

    • ARIA는 단순한 텍스트 문장 입력만으로 MIDI, WAV 등 다양한 포맷의 음원파일을 생성하는 API 서비스로, text2music과 text2sample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음악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입력한 텍스트에서 의도와 감정을 분석하여 멜로디, 리듬, 악기 구성을 자동으로 파악하며, 요청에 맞추어 전체곡 혹은 짧은 길이의 사운드 샘플을 생성합니다. 광고, 게임, 영상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배경음악과 사운드 샘플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어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프로 작곡가나 프로듀서에게는 아이디어 검증이나 샘플 제작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됩니다. ARIA는 B2B 대상 API를 통해 음악이 필요한 기업에는 음악 생성 솔루션을, 사내 작곡가의 생산성 향상이 필요한 곳에는 전문 툴로서 기능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도 빠르게 음악 리소스를 확보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효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향후 로드맵으로는 음원 퀄리티 향상과 음원 생성 시간 단축이 포함되어 있으며, 모델 학습과 엔진 최적화를 통해 이를 구현할 계획입니다.

      ARIA 디스코드
      Pozalabs API 홈페이지


포자랩스, 음원 생성 기술에서 데이터의 윤리적 활용 선도

    • 또한 11월, 포자랩스는 ‘AI For Music’ 서포터즈에 가입했습니다. ‘AI For Music’은 시드니 대학교를 포함한 총 7개의 교육 기관과 사운드클라우드, Virgin Music Group 등 세계적인 음악 기업을 포함한 총 83개의 음악, 테크 기업이 가입해있으며, 세계 1위 음악 회사 Universal Music Group과 세계적인 전자악기 제조사 Roland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음악 산업 내 AI의 윤리적 사용을 강조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포자랩스는 음악 창작자를 존중하는 회사 철학과 독자적 기술력을 인정받아 서포터즈 가입을 제안받았습니다.

      “포자랩스, 'AI For Music' 가입… “음악 위한 AI 사용 지지””

새로운 B2C 서비스 론칭

eapy (베타)

    • 올인원 음악 캔버스 (All-in-One Canvas for Music)

2024년 8월에 출시한 eapy는 음악 아이디어 발굴을 돕고, 음악을 활용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혁신적인 도구입니다. 미국 거주 사용자 비율이 80%, 주간 리텐션은 22%를 달성하고 있으며, 2024년 12월 20일 프로덕트 헌트에서 일간 4위 (Product of the Day)를 차지하였습니다.

eapy는 작곡가를 중심으로 음악을 사랑한다면 누구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펼치고 나만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연내 출시 할 예정이며, 각종 스트리밍 서비스 연동, 실시간 협업, 태블릿 지원, 모바일 지원 확대 등 사용자 편의에 맞춘 기능들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eapy 웹사이트

LAIVE

    • 키워드 기반 인공지능 음악 생성 서비스 (AI Music Generation Service)

2024년 1월에 출시한 LAIVE는 누구나 키워드와 아이디어만 있으면 쉽게 나만의 음악을 창작할 수 있는 생성형 AI 서비스입니다. 음악창작의 진입장벽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순한 키워드만으로 나만의 음악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사용자 기호에 따라 배경음악과 보컬음악을 만들 수 있습니다. 출시 이후 LAIVE를 통해 약 10만개의 음악이 창작되었으며, 추후 프롬프트 기반 음원 생성 기능과 보컬 모델의 수를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LAIVE 웹사이트

주요 B2B 프로젝트

2024년, 포자랩스는 AI 음원 생성 기술과 사내 작곡가들의 전문성을 결합하여 전문 맞춤형 뮤직 프로덕션인 ‘포자스튜디오’를 론칭했습니다. 포자스튜디오는 높은 품질의 상업용 음악을 업계 평균 대비 최대 70% 저렴한 비용50% 단축된 제작 기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강점으로, 런칭 초기부터 다양한 협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왔습니다.

Mnet - MAMA 오프닝
    •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음악 시상식 MAMA (Mnet Asian Music Award) 의 오프닝을 포자랩스가 제작한 음원이 장식했습니다. 해당 음원 ‘What Is Real?’ 은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연준, 아이브 리즈, 제로베이스원 한빈, 보이넥스트도어 성호, 그리고 이즈나 지민의 보컬로 장식되었습니다.

던킨 - 30주년 송캠페인

CJ ENM - M호텔

LGU+ - IXI 링백톤
    • LG U+가 새롭게 출시한 AI 에이전트, IXI 서비스에 포자랩스가 제작한 링백톤과 보이스피싱 위험 알림 경고음원이 활용되었습니다.

롯데월드 - 삼바 페스티벌

롯데월드 - 매직 인 더 나이트

MBC - AI 돌봄 다큐멘터리
    • MBC충북 창사 54주년을 기념하여 방영한 특집 다큐멘터리 ‘AI 돌봄’ 2부작의 전체 사운드트랙과 사운드를 제작했습니다.

굿웨어몰 - 그대의 싱글 LP

위시컴퍼니 - 음원 플레이리스트
    • 위시컴퍼니의 웰니스 브랜드 ‘마인드눅’을 위해 잔잔한 피아노곡, 보사노바, 크리스마스 캐롤 플레이리스트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 총 450곡을 제공했습니다.

Mode à Paris - 파리 패션위크 런웨이 주제곡
    •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 네이버제트가 후원하는 ‘Mode à Paris’ 2024 S/S 패션쇼에 포자랩스의 음악이 사용되었습니다. 잠비나이의 리더 이일우와 협업하여 제작된 총 4곡은 쇼의 오프닝과 클로징을 장식했습니다.

      “포자랩스, ‘모드 엣 파리’ 패션쇼 AI 음원 제작”

램퍼스 - 르누아르
    • 실감형 영상 전시 ‘행복을 그리는 화가, 르누아르’의 25분 길이 배경음악을 제작했습니다. 해당 전시는 파주에 위치한 뮤지엄 헤이에서 상영되었습니다.

GXG - 행사주제곡
    • 판교역 광장 일대에서 열린 게임문화축제 ‘GXG 2024’ 의 개막식을 장식한 음원으로 포자랩스의 인공지능 음원이 사용되었습니다.

Plusmusic - 게임음악 라이선싱 플랫폼
    • 게임개발사를 위한 음원 라이선싱 플랫폼, Plusmusic에 포자랩스 인공지능 음원 1,200곡이 납품되었습니다. Plusmusic의 음원 스트리밍 엔진은 리그오브레전드, 발로란트, 포트나이트, 패스오브엑자일 등의 게임에서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스튜디오 메타케이 - 왕비어천가
    • 2024 국제방송영상마켓 (BCWW 2024)에서 공개된 스튜디오 메타케이의 생성형 AI 드라마, ‘왕비어천가’ 트레일러에 포자랩스가 제작한 국악풍의 음원이 사용되었습니다.

Kalix - Hit Like That Drum 발매

버스데이 - SMAF 2024
    • 미디어아트 기업 버스데이가 제작한 2024 서울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2024 SMAF) 전시영상에 포자랩스의 인공지능 배경음악을 큐레이팅하고 효과음을 제작했습니다.

슬립포레스트 - 꿀잠닥터 수면음악
    • 지능형 수면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슬립테크 기업 슬립포레스트를 위한 인공지능 수면음악 10곡을 제작했습니다.

모모이 - 전시음원 큐레이팅

CAC코퍼레이션 - BNK 금융그룹 신년 영상
    • 종합 콘텐츠 스튜디오 CAC코퍼레이션과 협업하여 BNK 금융그룹의 2025년 신년 영상 배경음악을 제작했습니다.

국내외 행사 및 커뮤니티 참여

포자랩스는 국내외 여러 지역을 순회하며 SXSW, AAAI, BBC, 부산국제영화제, 우아콘 등 주요 산업 행사에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 다양한 산업의 전문가들과 활발히 교류하고, 포자랩스의 기술력을 효과적으로 선보일 수 있었습니다.


1/5 - CJ 비저너리 (CJ Visionary) 행사

2/21 - AAAI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3/8 - SXSW (South by Southwest)

3/18 - GDC (Game Developers Conference)
    •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석해 게임산업 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원생성 기술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5/9 - 삼성 SGIC (Samsung Global Investors Conference)
    • 삼성증권이 주관하는 유망 스타트업 IR 프로그램에 참가했습니다.

5/14 - 2024 콘텐츠 엑셀러레이팅 연계지원 사업 ‘블록버스터 2기’
    • 콘텐츠 분야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포자랩스 기술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5/31 - 국제 게임산업 컨퍼런스 with INDIECRAFT
    • 국내외 게임산업에서 대두되는 이슈들을 파악하고, 업계관계자들과 교류했습니다.

8/29 - 콘텐츠 유니버스 코리아

9/4 - 샌드박스 웹3 쇼케이스
    • 콘텐츠 IP 보유사를 비롯한 게임개발사, 마케팅 에이전스 등와 포자랩스 기술 활용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9/6 - GXG 2024 (Game Culture X Generation 2024)
    • 행사의 오프닝 음원을 제작하고, 포자랩스의 음원생성 서비스를 소개했습니다.

9/10 - BBC 인터뷰

9/26 - 엔씨소프트 세미나
    • 포자랩스의 손영웅 CCO가 포자랩스 음원생성 기술이 게임산업에 접목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9/27 - 부산국제영화제

9/30 - Byteplus 숏폼 드라마 세미나
    • 성장하는 숏폼 드라마 시장에 대해 파악하고, 국내외 콘텐츠 제작사들과 협업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10/23 - 콘텐츠 코리아
    • 영상 제작 및 콘텐츠 IP를 보유한 기업들과 협업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10/30 - 우아콘 2024
    • 포자랩스의 김효섭 프로덕트 매니저가 ‘생성형 AI 활용기’를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10/31 - AI 콘텐츠 페스티벌
    • AI를 활용한 콘텐츠 사업을 이어가는 다양한 업계의 관계자들과 협업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11/14 -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2024
    • 미국진출 한국 스타트업이 마주하는 다양한 이슈와 주요 성장지표과 여정에 대해 교류했습니다.

11/26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지식재산과 인공지능 국제 토론회’

12/12 - ComeUp Festival
    • 국내외 스타트업 관계자들과 교류하고 협업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12/19 - KBS AX Day

2025: 포자랩스의 다음 스텝

2025년, 포자랩스는 한 층 더 고도화된 인공지능 음원생성 기술력을 기반으로 프로덕트 고도화, 글로벌 협업기업 확대, 그리고 공간음향 적용을 통한 인공지능 음악의 새로운 장을 펼칠 계획입니다.


공간음향 기술 (Eclipsa Audio) 적용 음원 확대

    • 포자랩스는 Samsung Research와 Google이 개발한 공간 음향 기술 IAMF (Immersive Audio Model and Formats) 를 인공지능 음악 생성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3D 오디오 확산 기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계획입니다. 포자랩스는 Samsung Research, Google, 그리고 SM Entertainment와 협업하여 aespa의 ‘Whiplash,’ ‘Supernova’, ‘Armageddon’ 뮤직비디오 및 콘서트 공연 영상에 IAMF 공간 음향 기술을 적용했으며, 이는 CES 2025에서 선보여졌습니다.

      “포자랩스, CES에서 삼성전자·구글·SM과 함께 aespa 공간 음향 콘텐츠 공개”


viodio 리뉴얼


포자랩스 API 활용성 극대화 및 글로벌 고객사 확대

    • 포자랩스는 인공지능 음원생성 기술의 API를 통해 기업과 파트너사가 손쉽게 음원생성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이러한 API 전략을 통해 기술 호환성과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해외 시장에서도 적극적으로 솔루션을 도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글로벌 고객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고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입니다.

포자랩스 커뮤니티와 투자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포자랩스 커뮤니티, 파트너, 그리고 투자자 여러분께, 변함없는 성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지속적인 지원과 소중한 피드백, 그리고 협력 덕분에 포자랩스는 한 걸음 더 나아가며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함께 우리는 단순한 인공 지능 기술 개발을 넘어, 음악과 콘텐츠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소식을 통해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눠드리겠습니다.

2025년, 함께 더 큰 영감과 변화를 만들어가는 뜻깊은 한 해가 되길 기대합니다!